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64)
[컴퓨터구조] ch.5 기본 컴퓨터의 구조와 설계 (3) 컴퓨터 명령어 Mano의 컴퓨터시스템구조 제3판, 프로텍 미디어, 김종상 옮김 도서를 정리, 요약하는 글입니다. 1. 컴퓨터 명령어- 총 16비트 명령어 코드에서 (1) 메모리 참조 명령어는 위 그림과 같다. 주소 모드 I를 위해서 왼쪽의 1비트를 사용하고, 메모리의 주소를 지정하기 위해서 12bit가 사용된다. 남은 3bit는 opcode로 연산의 종류를 지정한다 여기서 연산은 14개(24 - 2)의 종류가 있다. 왼쪽부터 비트가 0 1 1 1은 레지스터 참조 명령어이고, 1 1 1 1은 입출력 명령어이기 때문이다. 0000~1111까지 16가지의 연산에서 앞의 두 개의 명령어를 빼서 14가지가 된다.    - 위 표에서 16진수로 표현된 명령어 코드에 해당되는 명령을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AC를 클리어하는 C..
[컴퓨터구조] ch.5 기본 컴퓨터의 구조와 설계 (2) 컴퓨터 레지스터 Mano의 컴퓨터시스템구조 제3판, 프로텍 미디어, 김종상 옮김 도서를 정리, 요약하는 글입니다. 1. 컴퓨터 레지스터- 컴퓨터에는 다양한 레지스터가 필요하다. 아래 표에 기본 컴퓨터에 필요한 레지스터가 있다.   - 이 책에서 설정한 컴퓨터의 메모리는 4096 x 16 bit로 한 칸의 크기가 16bit인 메모리가 4096개 있다는 뜻과 같다. 명령어 코드에서 피연산자 주소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12 bit가 필요하다. 4096(=212)개의 메모리를 지정하기 위해서이다. 전체 16bit인 명령어 코드에서 주소가 12bit를 차지하면 남은 4bit 중 1bit는 직간접 주소를 나타내는데 쓰인다. 남은 3bit가 명령어 코드를 나타낸다. - 많은 레지스터 중에서 크기가 16bit인 레지스터는 메모리에서 읽..
[컴퓨터구조] ch.5 기본 컴퓨터의 구조와 설계 (1) 명령어 코드 Mano의 컴퓨터시스템구조 제3판, 프로텍 미디어, 김종상 옮김 도서를 정리, 요약하는 글입니다. - 컴퓨터 구조는 내부 레지스터, 타이밍과 제어구조, 명령어 집합에 의해서 정의된다. 디지털 시스템의 내부 조직은 레지스터 안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지고 수행되는 마이크로 연산의 시퀀스에 의해서 정의된다. 특수 목적 디지털 시스템에서는 마이크로 연산의 시퀀스는 하드웨어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으며, 똑같은 업무한 반복한다. 디지털 컴퓨터는 범용 시스템으로서 다양한 마이크로 연산을 수행할 수있으며 수행할 연산의 특수한 시퀀스를 명령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는 원하는 연산자와 피연산자, 처리되는 순서를 기술한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에 의해서 처리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컴퓨터구조] ch.4 레지스터 전송과 마이크로 연산 (4) 시프트 마이크로 연산 Mano의 컴퓨터시스템구조 제3판, 프로텍 미디어, 김종상 옮김 도서를 정리, 요약하는 글입니다. 1. 시프트 마이크로 연산- 데이터 직렬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며, 산술이나 논리 및 연산 및 다른 데이터 처리 동작과 연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레지스터의 내용은 왼쪽 및 오른쪽으로 시프트될 수 있으며, 비트들이 시프트될 때 첫 번째 플립플롭은 직렬 입력을 통하여 새로운 이진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다. - 직렬 입력을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시프트의 종류가 나뉘어지며 논리, 순환, 산술 등의 세 가지 종류가 있다. 2. 시프트 마이크로 연산 종류 (1) 논리 시프트 (shl, shr)- 직렬 입력으로 0이 전송되는 것.- 왼쪽 시프트는 shl, 오른쪽 시프트는 shr   ex) R1 ← shl R1..
[컴퓨터구조] ch.4 레지스터 전송과 마이크로 연산 (3) 논리 마이크로 연산 Mano의 컴퓨터시스템구조 제3판, 프로텍 미디어, 김종상 옮김 도서를 정리, 요약하는 글입니다. 1. 논리 마이크로 연산- 저장된 비트열에 대한 이진 연산으로서 각 비트를 독립된 이진 변수로 간주하고 연산을 수행한다.- 논리 마이크로 연산은 계산에서보다는 이진 데이터의 비트 조작이나 논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데 자주 사용된다.- AND 연산은 ∧, OR 연산은 ∨, 1의 보수는 문자 위의 bar로 표현한다. 2. 논리 마이크로 연산표  - 두 개의 이진 변수 x, y로 수행될 수 있는 논리 연산은 모두 16가지이다.- 위의 표는 F0 ~ F15까지 두 변수 x, y 사이에 가능한 부울 함수 각각에 대한 진리표이다.   - 위의 표는 논리 마이크로 연산들은 두 레지스터 내용 사이의 연산을 의미한다.  - ..
[컴퓨터구조] ch.4 레지스터 전송과 마이크로 연산 (2) 마이크로 연산 Mano의 컴퓨터시스템구조 제3판, 프로텍 미디어, 김종상 옮김 도서를 정리, 요약하는 글입니다. 1. 기본적인 마이크로 연산- 레지스터 사이에서 이진 정보 전송- 레지스터에 저장된 수치 데이터에 대해서 산술 연산 수행- 레지스터에 저장된 비수치 데이터에 대해 비트 조작 연산 수행-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시프트 연산 수행 2. 산술 마이크로 연산 - 기본적인 산술 마이크로 연산에는 위 그림과 같이 덧셈, 뺄셈, 인크리멘트, 디크리멘트, 시프드 등이 있다.- 곱셈과 나눗셈은 산술 연산이지만 위 그림의 기본 연산 집합에 포함되지 않는다. 곱셈과 나눗셈은 디지털 시스템에서 조합 회로로 구현했을 때에 마이크로 연산으로 간주한다. (1) 이진 가산기- 전 가산기(full adder) : 2 비트와 이전..
[컴퓨터구조] ch.4 레지스터 전송과 마이크로 연산 (1) 레지스터 전송, 버스, 메모리 전송 Mano의 컴퓨터시스템구조 제3판, 프로텍 미디어, 김종상 옮김 도서를 정리, 요약하는 글입니다.1. 레지스터 전송 언어1. 마이크로 연산(micro-operation)  -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로 실행되는 동작  - 하나의 클럭 펄스동안 실행된다.  - ex) 시프트, 카운트, 클리어, 로드 등2. 레지스터 전송 언어(register transfer language)  - 마이크로 연산 전송을 표시하는 기호  2. 레지스터 전송   (a) 레지스터 이름을 박스 안에 써서 표현  (b) 각각의 비트까지 표현  (c) 16비트 레지스터에 번호를 붙여서 표현  (d) 16비트 레지스터를 둘로 나눠 하위 비트(0~7)인 L, 상위 비트(8~15)인 H로 표현 - 레지스터 전송은 치환 연산자를 이용한다. R..
[데이터통신] 데이터통신 개요 (1) 이재광, 김중규, 이경현, 홍충선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5판과 6판 성신미디어를 정리, 요약하여 올리는 글입니다. 1. 데이터 통신 1-1. 데이터 통신이란 - 통신이란 정보나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다. - 데이터(data)는 데이터를 만들어 사용하는 사용자 간에 합의된 형태로 표현된 정보를 말한다. - 데이터 통신은 전선과 같은 특정 형태의 전송 매체를 통해 두 장치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이다. 1-2. 효과적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특성 - 전달성 : 시스템은 정확한 목적지에 데이터를 전달해야 한다. - 정확성 : 시스템은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 - 적시성 : 시스템은 적시에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 파형 난조 : 패킷 도착 시간이 조금씩 다른 것을 말한다. 1-3. 데이터 통신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