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컴퓨터구조(Mano)

[컴퓨터구조] ch.5 기본 컴퓨터의 구조와 설계 (9) 컴퓨터에 대한 완전한 기술

Mano의 컴퓨터시스템구조 제3판, 프로텍 미디어, 김종상 옮김 도서를 정리, 요약하는 글입니다.

 

1. 기본 컴퓨터에 대한 완전한 기술

 

- 위 그림이 최종 흐름도의 모습이다. SC가 클리어되면 타이밍 신호는 T0가 되며 인터럽트 플립플롭 R은 간접 및 실행 단계 어디서나 세트될 수 있다. R = 1이면 인터럽트 사이클이 수행되고, R = 0이면 명령어 사이클이 수행된다. 명령어 사이클이 메모리 참조 명령이라면(D7 = 0) 간접 주소 여부를 확인한다. I = 1이면 간접 주소 명령이고 0이면 직접 주소 명령이다. 

 

 

-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라 다시 그린 그림이다. 정리하면 메모리 참조 명령은 전체 명령어 비트에서 12~14에 해당하는 비트가 000~110이면 D7이 0이므로 메모리 참조 명령이다. 만약 12~14 비트가 1이라면 D7은 1이고 이는 다시 I비트가 0인지 1인지에 따라서 레지스터 참조 명령, 입출력 명령으로 나뉜다. 

 

2. 컴퓨터에 대한 제어 함수와 마이크로 연산

- 컴퓨터의 동작을 기술하는데 필요한 레지스터 전송문이다. 이를 통해 논리 회로를 설계할 수 있겠다. 

- 참고할 점은, 레지스터 참조 명령의 경우 IR(i) = Bi (i = 0, 1, 2, ..., 11)인 반면 입출력 명령의 경우 IR(i) = Bi(i = 6, 7, 8, 9, 10, 11)이다. 레지스터 참조 명령은 0~11까지 모든 비트가 필요한 반면 입출력 명령은 6~11 비트만 필요하다. 그 이유는 레지스터 참조 명령은 내부 레지스터(AC, E 등)나 제어 신호를 조작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레지스터에 접근해야 하므로 레지스터의 주소의 크기 만큼의 비트(0~11)가 필요하다. 반면, 입출력 명령은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외부 장치의 플래그 체크나 동작 수행 정도의 명령이 필요하므로 6~11 상위 비트만으로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다.